선배님들은 개발에 AI를 활용하실 때 어떤 제품을 사용하시나요?

안녕하세요.
오늘따라 ChatGPT를 쓰면서 다른 분들은 개발에 있어서 어떤 AI 모델을 쓰시는지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저는 OpenAI ChatGPT만 결제해서 Plus Plan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주로 C++, MFC에 대해서 질문하고 어쩌다 보니 C#은 사용하지 않게 되었지만 가끔식 공부하면서 C#도 물어봅니다.

GPT를 검색 엔진처럼 생각하고 사용하고 있는데, 구글에서 검색해도 이상한 자료가 있을 수 있고, 또 AI도 인터넷상의 많은 자료를 바탕으로 학습했을 거라고 생각해서 요즘은 구글링보다 GPT를 더 많이 사용합니다.

제가 GPT를 쓰면서 느낀 점은, 현재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ChatGPT 4o 모델은 개발에 관해서는 성능이 별로인 것 같아요.
반면, o3-mini-high는 나름 만족하면서 사용 중입니다.
그런데 GPT한테 물어봤을 때, ChatGPT 4o가 더 범용적인 학습 모델이므로 IT 개발에도 적합하다고 하네요?
말만 그럴싸하게 하지, 내용은 별로라고 느꼈는데… 열받게 했을 때도 많고…

이상 GPT에 대한 제 푸념이었고…

결론은 다른 분들은 어떤 AI 모델을 어떻게 활용하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게시글 카테고리를 '모두의 Q&A’로 변경해드렸습니다.

일단 생성형 AI 모델의 특성을 먼저 이해하셔야 할 것 같아요. GPT-3 이후 출시된 모든 모델들은 일정 응답 시간 내에 결과를 도출하도록 설계된 모델들입니다. 그래서 답변 속도는 빠르지만, 어떻게든 답을 이끌어내도록 설계되어있어서 지식이 부족하거나 프롬프트에 추가 데이터가 없을 경우 말을 지어내는 환각 증상이 좀 더 잘 드러나는 편입니다.

반면에 최근 출시된 GPT-o1이나 -o3-* 시리즈들은 사용자의 질문에 대한 답을 바로 꺼내지 않고 몇 번의 thinking (결과 검토) 과정을 거쳐서 답을 정제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에 말씀하신대로 결과에서 차이가 나타납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하더라도 여전히 학습된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다면 비슷한 결과를 낼 수도 있습니다.

많이 경험하셨겠지만 GPT는 방대한 데이터셋을 "요약"하고 "정리"하는 데에 특화된 도구입니다. 많은 상황에서 GPT의 이런 능력은 방대한 검색 결과를 정리하고 이해하는 데 드는 수고를 덜어주긴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검색을 대체하지는 못합니다. 특히 정보를 획득함에 있어서 원래 어떤 내용이었는지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GPT는 "확률"을 기반으로한 의사 결정을 수행하므로 사람의 의중을 100% 다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도 생깁니다.

제 경우에는 GPT를 “나침반” 정도의 의미로만 해석하고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GPT에 모든 의사 결정을 맡기는 것은 마치 러시안 룰렛 게임을 하는 것과 같이 복불복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무리 모델이 잘 나오고 딥 리서치가 정교한 결과를 낸다 한들요.)

또한 말씀하신대로 GPT를 신뢰할 수 있으려면, 모든 GPT류 서비스에서 아래 문구가 제거되더라도 소송을 당하지 않을 수 있어야 한다는 전제가 붙는다고도 생각합니다.

oooGPT는 실수를 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정보를 확인하세요.

3 Likes

개발 자체에 활용한다기 보단 뭔가 오류 났거나 의도한 대로 안될 때 내가 뭘 잘못했는지 찾아주는 속도가 빨라서 좋습니당 ㅎㅎ

2 Likes

기존에는 뭔가 하나를 찾기 위해 키워드를 잘 추출해서 구글에 넣고

첫 페이지에 있는 광고를 제외한 20여개의 링크를 열어서

해당 내용이 내가 찾는 내용이 맞는지 아주 짧은 영어로 눈으로 슥~ 훓고

스택오버플로우는 댓글까지 다 읽어 가면서 찾아서

그걸 돌려서 안되면 “이거 아니네, 다른거” 그러면서 했었는데

이젠 그냥 나오는 코드 복붙해서 돌려보고

되면 OK, 안되면 그내용 그대로 질문하면 다시 수정해주고

이전에 비하면 문제 해결 시간이 많이 줄었죠.

1 Like

GitHub Copilot 아주 애용하고 있습니다 :+1:

2 Likes

좋은 답변 감사합니다.
“나침반” 정도의 의미로만 해석하고 사용"
저도 말씀하신 이 부분을 생각하면서 사용해 봐야겠습니다.

2 Lik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