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M 설계 관련 자동화 개발은 어떤걸 말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구직중에 해당 업무가 어떤 일을 하는지 궁금하여 질문을 남깁니다.

CAD, Civil3D, Revit 등 BIM 설계 관련 자동화 개발 경력자 우대

위와 같은 내용의 개발 경력자를 구한다고 하는데요.

BIM 관련 업무란 주로 어떤 걸 말하는건가요?

관련 업무 강도는 어떤가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Like

CAD, Civil3D, Revit 같은 3D 렌더링 도구를 이용해서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용역 업무를 볼 수 있는 도면 설계가 가능한 엔지니어를 찾는다. 정도의 의미로 이해가 되네요.

제가 보기에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를 찾는 공고라기보다, 건축업계에서 일하는 도면 설계를 담당하는 설계사를 찾는 공고에 가까워 보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닷넷데브에서는 건축업과 관련된 직접적인 도움을 받으실 수 있는 확률이 높지 않다고 생각이 드는데요,

조금 더 인터넷을 검색해보시고 관련된 커뮤니티는 없을지 알아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2 Likes

답변 감사드립니다!!

1 Like

관련 설계 툴이 제공하는 API들이 많습니다.
AutoDesk사 제품은 당연히 제공되는 범위가 넓고, Tekla structures같은 철골 관련 전문 툴에서도 제공하고요.
그런걸 활용해서 옛날 AutoCad의 Lisp같은 매크로를 만든다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수치 입력하고 클릭 몇번으로 수십시간 작업해야될 분량이 뚝딱 만들어지기도 하고요.
그 분야 고인물들은 예전에 돈 많이 번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저는 건축 전공입니다)

4 Likes

부연 설명해주셔서 고맙습니다! 역시 깊은 도메인 지식이 필요한 부분이 맞군요.!

2 Likes

답변 감사드려요!!

BIM을 이용해서 여러 개발이 가능합니다.

그 중 하나가 설계 단계 시 반복적인 일을 버튼 한번의 클릭으로 실행되는 메크로 기능을 개발 할 수 있습니다.(CODE REAPER 님이 잘 설명해주셨네요)

  1. 공통 속성 정보를 bulk 작업
  2. 프로젝트 초기 설정을 템플릿화
  3. 특정 조건에 맞는 도면 자동 생성
    등등… 엄청 많습니다. 저도 제 주 업무가 아니라 정확하게 설명은 못드립니다.

설계 단계 말고도 시공/유지관리 단계에서 다음과 같이 활용할 수 있습니다.
CAD, REVIT으로 작성된 모델을 가지고 물량을 산출해서 비용을 계산하거나,
3D 데이터를 Export 하여 여러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공정 시뮬레이션, 시설물 관리) 등…

업무 강도는 제가 볼 땐 좀 있는 것 같습니다.
일단 설계 관련 업무가 설계사마다 프로세스가 조금씩 다르다보니 공통적인 부분을 설계사에 맞게 커스터마이징 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커뮤니티도 적고, autodesk의 지원도 부실하고 문서화도 충분치 않아 기능을 구현할 때 맨땅에 헤딩할 가능성도 높습니다.

1 Like

답변 감사합니다! 커뮤니티가 적고, 문서화도 충분치 않다면 초급 개발자에겐 더 힘들겠군요…

1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