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할 수 있는 플랜은 GitHub Copilot Pro, Pro+, Business 및 Enterprise이며 9월2일 까지(벌써 얼마 안남았네요) 사용량에 제한이 없습니다.
9월2일 이후에는 프리미엄 요청의 0.25배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코딩에 특화된 모델인 만큼 잠깐 사용해본바로는 상당히 빠르며 유지하는 컨텍스트의 사이즈가 상당히 큽니다. (토큰 량은 어디서 봤는데 기억이 안나네요)
사용할 수 있는 플랜은 GitHub Copilot Pro, Pro+, Business 및 Enterprise이며 9월2일 까지(벌써 얼마 안남았네요) 사용량에 제한이 없습니다.
9월2일 이후에는 프리미엄 요청의 0.25배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코딩에 특화된 모델인 만큼 잠깐 사용해본바로는 상당히 빠르며 유지하는 컨텍스트의 사이즈가 상당히 큽니다. (토큰 량은 어디서 봤는데 기억이 안나네요)
Visual Studio 2022에서는 사용할 수 없고 Visual Studio Code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Visual Studio Code에서 Grok Code Fast 1
을 이용해
Avalonia Skia 랜더러를 이용한 테트리스 게임을 최신 .NET 및 C#으로 만들어줘!
위의 프롬프트 만으로 다음의 copilot-instructions.md를 생성하며 코드를 전개했습니다.
<!-- Use this file to provide workspace-specific custom instructions to Copilot. For more details, visit https://code.visualstudio.com/docs/copilot/copilot-customization#_use-a-githubcopilotinstructionsmd-file -->
- [x] Verify that the copilot-instructions.md file in the .github directory is created. - Completed.
- [x] Clarify Project Requirements - Completed. Avalonia Tetris game with Skia renderer, latest .NET, C#.
- [x] Scaffold the Project - Completed. Avalonia project created using dotnet new avalonia.app.
- [x] Customize the Project - Completed. Implemented Tetris game logic with GameCanvas control.
- [x] Install Required Extensions - No extensions needed.
- [x] Compile the Project - Completed. Project builds successfully with dotnet build.
- [x] Create and Run Task - No tasks needed for this project.
- [x] Launch the Project - Completed. Project runs with dotnet run.
- [x] Ensure Documentation is Complete - Completed. README.md created with project information.
- Work through each checklist item systematically.
- Keep communication concise and focused.
- Follow development best practices.
흥미로는 지점은 알아서 Avalonia 템플릿을 추가하고 프로젝트를 생성한 후 별다른 시행착오 없이 컴파일 되는 Skia 랜더링용 Avalonia 환경을 구성한 후 테트리스의 기본적인 동작성을 구현해 냈다는 점입니다.
그런 다음 copilot-instructions.md
의 지침대로 잘 구성했는지를 다시 체크해 가며 항목에 한 것은… 대단하네요! ^^
Avalonia Skia 랜더러를 이용한 테트리스 게임을 최신 .NET 및 C#으로 만들어줘!
구글 번역 : Create a Tetris game in modern .NET and C# using the Avalonia Skia renderer!
구글 [AI Mode]에 입력!
좀 더 살펴 봐야 겠지만 output token값이 인상적이네요.
{
max_context_window_tokens: 128000,
max_output_tokens: 64000,
max_prompt_tokens: 128000,
}
Grok Code Fast 1
모델에 익숙해지고 활용하기 위해 써보고 있는데요, 특징을 간단히 이렇게 정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답변 속도가 느린 모델들이 불필요한 설명을 장황하게 늘어놓는 걸 지켜보면 답답할 때가 많았는데, Grok Code Fast 1
모델은 묵묵히 코드를 작성하고, 그 코드에 대한 설명도 간결하게 해줍니다.
제가 써본 모델 중 가장 빠릅니다. 그리고 컴파일 가능한 코드도 꽤 잘 생성해줘요.
요구사항 명세서를 만들어서 "이대로 만들어줘"라고 하면 잘 수행하지 못합니다. “이것 만들어줘”, “저것도 해줘”, "요것도 추가해줘"처럼 스텝을 짧게 가져가며 일을 시켜야 잘 작동합니다.
이런 특징 때문에 신중하게 잘 활용해야 할 모델이라고 생각합니다. 개발을 전혀 못하거나 코드 전개를 어려워하시는 분들에겐 다루기 까다로운 모델일 수 있어요. 하지만 어느 정도 개발 경험이 있고, 모델을 올바른 방향으로 잘 이끌 수 있는 분이라면 훌륭한 결과를 낼 수 있는 뛰어난 모델이라고 봅니다.
조만간 이 모델을 이용해 만든 출석 체크
웹 앱도 소개해볼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