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 LLM 관리 앱 만들기 Ollama Manager | WPF + WEB

@vickyqu115 이 튜토리얼에서는 WPF 프로젝트 설계부터 MVVM, DI, API 등 애플리케이션 기본 구성 등을 자세히 설명합니다.

로컬 LLM 모델 관리 플랫폼인 Ollama를 통해 관리 앱을 WPF 또는 OpenSilver로 구현하는 내용을 다루며, WPF 기술 그대로 OpenSilver 플랫폼(웹)으로 개발 또는 마이그레이션 하는 것에 관심이 있으신 분에게도 추천 드립니다.

14개의 좋아요

배울게 많은 좋은 플젝이네요. 여기다 질문해도 될지모르겠지만 질문드립니다. 개인적으로 저도 customControl를 많이 쓰는 편이긴 한데, 현재 구현된것 보니 화면단 까지 다 구성하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혹시 opensliver 전환(?)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건가요? html 익숙하지 않으니 답답해서 opensilver 고려중입니다.

5개의 좋아요

@jakob

구조적 유연성 측면에서는 UserControl의 Content 영역 제약을 벗어나 더 자유로운 구성이 가능하고, ControlTemplate과 DependencyProperty를 보다 체계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리소스 관리 측면에서는 각 CustomControl마다 격리된 ResourceDictionary를 자연스럽게 구성할 수 있어, 리소스의 범위와 생명주기를 짜임새 있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화면 단위와 컨트롤 단위 모두 일관된 아키텍처로 구성할 수 있다는 것도 큰 장점입니다.

UserControl 방식에서도 동일한 기능들을 사용할 수는 있지만, CustomControl 방식이 구조적으로 더 체계적인 접근을 유도합니다.

AI 활용 관점에서도 ResourceDictionary 단위로 격리된 명확한 구조가 AI가 코드를 이해하고 수정하는 데 더 효과적이라 느껴집니다.

플랫폼 마이그레이션 측면에서는 OpenSilver, WinUI3, Uno 등 WPF 마이그레이션에 특화된 플랫폼으로의 전환 시 CustomControl 기반이 확장성을 고려할 때 탁월합니다.

마이그레이션 과정에서 우회해야 하는 상황들이 발생하는데, 화면 단위에서도 Trigger, VisualStateManager, 버블링/터널링, DependencyProperty를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이라면 더욱 경쟁력 있게 대응이 가능합니다.

그 밖에도 생각나는 장점들이 더 있지만 이 정도로 마무리하겠습니다.
OpenSilver도 꼭 도입해보시길 기대합니다!

5개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