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 5년간 닷넷 개발을 해오면서, 몇몇 닷넷 개발에 사용했던 IDE/코드에디터들에 대한 개인적인 평가(?)에 대해
글을 써봅니다.
Monodeveloper
닷넷을 처음 접하게된 계기는 유니티 개발이고, Rider for unity가 본격적으로 나오기전까지 사용했었습니다.
유니티의 기본 개발도구가 Monodeveloper여서 사용해보았습니다.
UI는 vs보다는 vs code에 가까웠고, 기능이 정말 기본만 있는 수준이라서
”유니티 개발엔, 필요한 만큼만 있다” 정도의 느낌이였네요.
Visual Studio 2015 / 2017 + Resharper
닷넷개발에서 가장 메이저하고 중요한 비주얼스튜디오입니다.
가장 기능이 많고, 레퍼런스도 많으며 완성도 또한 굉장합니다.
특히 클라우드 플랫폼을 Azure로 사용한다면, 굉장히 호환성도 좋고 재미있는 기능도 많이 제공해줍니다.
대신 용량도 크고, 무거운편이고, 당시엔 32비트여서
메모리 활용이 그닥 좋지는 않았습니다. (지금은 64비트 지원으로 쾌적하더군요)
젯브레인의 리샤퍼를 사용하면 완전체(?)가 되는데, 이 리샤퍼가 굉장히 무거웠죠…
Visual Studio for mac
가장 사용성이 별로였던것으로 기억하네요.
20년도즈음 회사에서 맥북을 지급해서 사용했었습니다.
사실 이름만 비주얼 스튜디오를 붙이고 있지만, 위에 적었던 Monodeveloper에 가까운 물건이였고
실제로도 기반였습니다.
단순 실행, 디버깅, 등등 기본적인 기능만은 쓸만했는데
내장 Git프로그램이 굉장히 불편하고 무거웠습니다.
커밋이 많아지면, 내역 불러올때 굉장히 무거워지던게 기억나네요.
이젠 지원도 끊겨서 다시 볼일은 없을 것 같습니다.
Rider
vs for mac을 도저히 계속 못쓰겠고, 애플 실리콘 버전이 나오자마자 바로 갈아탔습니다.
비주얼스튜디오만큼안 아니더라도, 주로 개발하는 닷넷웹앱 개발에는 부족함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사실상 리샤퍼가 따라오는게 큰 장점!)
자바 기반이라 엄청 가볍다고는 못하지만, 그래도 제일 쾌적한 것 같습니다.
한가지 불편사항으로 예전에 mac os버그로 jvm메모리 (Sigkill) 관련 버그소동때 영향을 받았던 정도..?
최근엔 Visual Studio code도 눈길이 가는데, 이쪽은 아직 C# 개발툴 평이 좋진 않더군요
이상, 두서없이 개인적인 닷넷 개발도구에 대한 소감들이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