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b.exe CLI 유틸리티가 내부적으로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고 싶어서 조금 살펴봤는데, 흥미로운 것을 찾았습니다. wsb.exe는 내부적으로 .NET Core 5로 빌드되어있는 것 같고, gRPC를 사용해서 Windows Sandbox를 제어하도록 만들어져있는 것 같네요!
생각보다 Windows의 주요 기능이나 핵심 기능에 오픈 소스 기술 스택이 쓰인 것을 뜻하지 않게 발견하게 되는데, Windows 알림 센터에서 내부 DB를 SQLite를 사용하는 것을 본 이래로 오랫만에 느껴보는 센세이션함입니다. ![]()
그리고 샌드박스 런타임 자체는 전통적인 System-wide / Global 서비스 개념이 아닌 Per-user Service (내부 명칭으로는 UDK라고 되어있음) 기반의 사용자 단위 서비스로 구현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UDK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나와있는 정보가 없어 불분명한 점은 있지만, 이런 준비를 갖춘 것을 봤을 때 추후 더 유연한 기능 확장이나 API 공개 가능성을 염두에 둔 것 같은 인상을 주는 것 같아서 흥미롭네요 ㅎㅎ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