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tFramework와 .Net 5 둘 중에 어떤걸로 WPF 프로젝트를 시작해야 할까요?
→ 개인적으론 WPF는 코어 이상으로 넘어가지 않고 최신 버전의 닷넷 프레임워크로 진행해도 좋다고 판단합니다.
WPF는 어차피 윈도우 전용 이기에 코어 이상에서 멀티 플랫폼 관련 장점은 없고
말씀하신 기타 외부 라이브러리 호환성이 아직까진 닷넷 프레임워크 이상 지원이 더디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 다만 최신 C#언어 스펙 문법을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은 존재 합니다.
- WPF는 다국어 배포는 어떻게 하나요?
→ WPF도 마찬가지로 다국어 테이블 형태로 관리 합니다.
이를 지원해주는 것이 리소스 형태로 관리할 수 있게 지원하고 있습니다.
각 언어별 리소스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고 xaml 또는 cs(코드비하인드)에서 리소스로 관리되는 해당 언어에 맞는 키로 접근해서 사용하 실 수 있고,
Thread.CurrentThread.CurrentUICulture
로 로드할 다국어 리소스를 정할 수 있습니다.
이 다국어 리소스는 빌드시 각 언어별 dll로 생성 됩니다.
- 디자이너와의 협업방식은 어떻게 될까요?
→ Blend 디자이너가 따로 있다면 완벽하게 xaml(뷰)를 디자이너에게 전담해서 분리 작업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국내에선 Blend를 다루실 줄 아는 UI/UX 디자이너 수요가 많이 없는 것이 현실 입니다.
Blend디자이너가 없는 곳에서는 보통.,
디자인/UX기획 가이드, 이미지등을 넘겨받아 개발자가 Blend 또는 VisualStudio 상에서
간단한 디자인 요소는 직접 Path등으로 가이드대로 작업을 하고
부분 이미지를 디자이너에게 파일로 받아서 이미지로 디자인을 하기도 합니다.
해상도는 요즘 사용자들의 개인 장비들이 워낙 스펙이 늘고 있는 추세로 일반적인 해상도 기준으로 작업 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Grid, ViewBox등 컨트롤을 이용하면서 진행하시면 큰 문제는 없을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