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i 서비스냐 웹이냐 소켓이냐 스케줄러냐 등의 차이로 활용범위로 인한 차이를 확인하셔야 합니다.
클라우드 서비스 내에 수많은 사양의 인스턴스들을 제공합니다.
단순히 윈도서버만인지, sql은 포함인지, 클럭은 상관없는지등은 모두 뒤져보고 계산기등이 지원되니 이를 다시 확인해봐야합니다.
aws 는 사양별로 제공하는데, 애저는 아예 스펙을 직접 설정할수도 있다고 들었습니다(램이 8->16으로 변경 등등)
리눅스처럼 재부팅 없는 보안 패치 (핫패치)가 지원되는 Windows Server Azure Edition 지원
또한 Windows Server의 최근 개발 방향 상 Azure 환경 위에서 가장 잘 작동하도록 점점 지원을 강화하고 있는 부분
위의 장점들이 메리트가 있다면 Azure에서 Windows Server를 쓰는 것이 좀 더 의미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의 이점들이 특별한 장점이 아니라면, 꼭 Azure가 아니어도 다른 클라우드 플랫폼을 사용하는 것을 주저할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Azure, AWS, GCP 같은 일정 규모 이상의 클라우드 사업자가 제공하는 Windows Server 라이선싱 모델은 대개 가장 최상위 버전 SKU인 Datacenter Edition이 제공됩니다. 비용 절약을 고민하고 계시다면, @jamesnet214 님께서 말씀해주신 것처럼 이보다 낮은 SKU를 제공하는 카페24, 가비아 등 국내 서버 호스팅 사업자의 상품을 검토하는 것이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