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azor로 만든 사이트를 azure 에 배포해서 한달정도 운영했는데
순저히 개인적인 이용에 db도 사용하지 않고 최저 가격으로 운영해도
4~5만원이나 책정되네요(망할 환율)
개인의 입장에서는 약간 부담이 되는데
어차피 리눅스 환경도 지원하는 닷넷이니 좀 만만한 호스팅 서비스가 없을까요??
혹시 사용하는곳이 있으신가요?
용도는 간단한 유틸성 기능의 사이트에 포트용입니다.
cafe24에서 linux 호스팅하시면 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제가 써본건 vulture가 있는데, 한 6개월 정도 Win10을 커스텀으로 설치해서 써봤습니다.
속도는 여타 가상서버가 그렇듯 일정하지는 않고 조금 들쭉날쭉 하는 편이었구요. (아주 못 쓸 정도는 아니었습니다.)
유틸성 기능을 하는 사이트라면 괜찮지 않을까 싶어요
iwinv에서 linux호스팅하시면 될듯합니다. docker가 미리 설치된 서버이미지로 선택하시고 container로 올려서 이용하시면 될듯합니다.
@파란매 저도 파란매님과 비슷한 이유로 고민을 자주 했었는데
제가 이용했던 한 곳 알려드릴께요.
SmarterASP.net - Unlimited ASP.NET Web Hosting
- 호스팅 및 SQLServer 또는 MySQL도 기본으로 제공
- 사용자도메인 연결 가능
- SSL (https)도 제공
- 가성비는 좋으나 서버가 엄청 안정적이진 않음
서비스단계가 아니라면 충분히 사용해볼만했었습니다!!
모두 감사합니다
저도 윗분처럼 국내쪽은 스마일서브(현재:clodudv)에서 했습니다.
국내라 지원 받기도 쉽고 무엇보다도 가성비 트래픽용량이 좋았어요.
중요한 건 판교에 위치한 센터이용했구요.
저는 이 제품을 고려 중입니다.
절전 모드 6W, 평균 15W라고 하니, 집에서 운영해도 전기세 걱정은 없을 것 같습니다.
윈도우는 임베디드되어 있습니다.
도메인은 공유기에서 지원하는 DDNS 로 해결하거나, cloudfare 를 이용하여 개인 도메인을 등록하거나할 생각이고,
DB는 PostgreSQL.
위 제품이 용량이 넉넉해서, 개발용, 시연용에 전혀 부족함이 없을 듯 합니다.
마지막으로 인증서는 웹어플리케이션 프로젝트 시작할 때 발행해주는 개발용 인증서를 클라이언트 PC 에 등록하려고 합니다. 이게 로컬 네트워크에서만 되는지, 원격에서도 되는지 확인은 안 해봤지만, 이론적으로는 문제가 없을 것 같기는 합니다.
와 과감 하십니다 DBA 하시는 선배님도 PostgreSQL DB가 좋다고 추천하시더군요
Mariadb 는 설명하기 힘든 뭔가 불편한점이 있다고요
불행하게도 저는 PostgreSQL이 더 좋다는 건 잘 모릅니다.
그냥 공짜라서. ㅋㅋ
.
저도 @BigSquare 님과 약간 비슷하게
집에 4700S 키트 들어간 소형PC를 세컨PC 및 실습용 유사 서버로 사용하고 있어요.
mariadb, 옛날 학생 서비스로 받은 mssql 2016을 쓰고 있습니다.
현실은, 게임 dedicated server 가동용에 가깝지만 ㅎ…
어쨌건 서버는 서버니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