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icrosoft MVP 무료 프로그램 Developer Recognition - Community Support (jetbrains.com)
-
Open Source 무료 프로그램 Licenses for Open Source Development - Community Support (jetbrains.com)
-
학생 및 교사 무료 프로그램 Free Educational Licenses - Community Support (jetbrains.com)
-
커뮤니티 컨퍼런스들에 후원으로 뿌리는 무료 라이센스 User Groups - Community Support (jetbrains.com)
-
뭔지 모르겠음 무료 프로그램 Events Partnership - Community Support (jetbrains.com)
근데 이 가격 비교는 라이더도 기업용으로 비교하는게 맞는 것 같습니다. 엄밀히 따지면 기업에서 개인용 라이센스를 구매해주는건 라이센스 위반인지라 창업을 가정하더라도 기업용 라이센스를 개발자들에게 지급한다고 하면 구독 금액차가 크진 않아요. (물론 라이더는 기업용이라도 할인이 들어가긴 해서 말씀하신 것 처럼 오래 쓸 수록 vs보다 많이 싸지긴 합니다.)
하지만 1인 창업을 가정하시고 비교하신거라면 말씀하신대로 라이더 구독이 가격적으로는 훨씬 이득 이긴 합니다 ㅎㅎ
아하…그러네요 짚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개인 라이센스를 회사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것 때문에 기업라이센스는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Rider 기업 라이센스는 연간 419달러이고, 월간 41.9달러네요!
Visual Studio 기업 라이센스는 연간은 모르겠는데 월간 45달러네요.
역시 Visual Studio가 상대적으로 조금 더 비싸긴 합니다.
명료하게 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ㅎㅎ
이게,
개인 라이센스를 회사에서 사용 가능 하다
라는 걸 보면요,
개인 사용자가 구매해서 회사 업무에 사용 하는 경우 허용 인데,
@검은눈의광룡 님께서 말씀하신 것과 같이
보통 회사에서 구매를 한 후 임직원(이라고 써도 되나요?) 에게 사용권을 부여/허여 한다 의 개념인 걸로 알고 있는데,
개인이 구매해서 쓰는 것과는 살짝 다른 얘기 같아요.
대표적인 예로, Office의 Home and Student는 개인으로 쓰면 유효하지만, 회사에서 쓰면 안 되니까요.
Visual studio 는 Professional 이상만 사용 중이면 개인용이건 기업용이건 크게 구분 하지 않는 것 같더라고요.
월간/ 연간 구독일 경우 볼륨 라이센싱 처럼 관리자 계정에, 그룹에 속한 인원들에게 라이센스 부여해주는 방식입니다.
(DevExpress도 비슷한방법을 씁니다.)
++
Event Partnership은
우리 이런 개발자 행사 하는데 스폰서 좀 해주세요! 하는 걸로 알고 있어요.
경품으로 쓰일 1년 이용권 증정! 이런 걸로요.
저도 그래보였는데 User Groups 라이센스를 보니까 그게 더 컨퍼런스 경품에 맞다고 보여지더라구요.
Who can get support
Tech communities that get together every 1-3 months can receive free licenses to any JetBrains IDE as door prizes for each meetup:
- 1 free license for user groups with 30-50 attendees per meetup.
- 2 free licenses for user groups with 50-100 attendees per meetup.
- 3 free licenses for user groups with 100+ attendees per meetup.
We also offer a free personal subscription to any JetBrains IDE for up to two user group leaders.
We encourage all user groups to have a сode of сonduct that is diligently enforced.
영알못이지만 번역해보니 위와 같아서 ㅎㅎ
아앗, 그러면 닷넷데브 오프라인 행사할 때 신청 할 가능성도 있겠네요!
그게 사실…2019년 및 2020년도 까지는 Jetbrains korea(Jetbrains에 한국지사가 있는지 잘 모르겠네요)에서 저희에게 먼저 컨택해주셔서 경품으로 1년치 All Product 라이센스를 한 10개정도 뿌린 거로 기억하는데,
그 10개인지 확실하지는 않지만 아무튼 모두 단 한 명도 등록해서 사용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래서 공식적으로 Jetbrains가 스폰서십을 철회했었던 것으로 기억이 나네요.
다시 부탁을 드린다면 모르겠지만…당장은 기회가 어려울 것 같습니다.
으아악 ㅠㅠㅠㅠㅠㅠㅠ
있었으면 전 진작 썼죠!!! ㅇ<-<
사실 저 땐 Rider가 왜 편한지 모르고 살던 시절에 가까웠네요.
저는 회사 입사 전 인턴 시기 때 개별로 프로젝트를 진행했었는데, 개발 기간이 추석과 겹쳐서 1주 남짓했던 터라 .NET Framework 4.7 + WinForm 기반으로 진행을 했었습니다.
그 당시 Visual Studio 2015를 내부에서 사용하고 있었는데 (현재는 정식 입사해서 건의해서 전부 Visual Studio 2022로 변경했습니다.) 지급된 노트북에 설치가 계속 실패해서…대학생 때부터 관심만 가졌던 Rider를 개인 구매해서 인턴 프로젝트 때 처음 제대로 사용해 보았습니다.
.NET 기반으로만 프로그램 작성하는 목적으로는 Visual Studio의 훌륭한 대체제라고 생각됩니다. 개인 라이선스 구매가 부담스러우면 Open Source 개발에 한해서 무료로 사용할 수도 있으니까요.
회사 내 프로젝트 구조 상 기존에 구현된 C++ 코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Rider를 전면적으로 사용하기에는 조금 힘든 부분이 있긴 합니다만, 담당하고 있는 프로젝트 외에 사내에서 Linux 상에서 공부 겸 토이 프로젝트로 간간히 사용하고 있습니다. Linux 플랫폼에서는 .NET 개발용으로는 Top 3 안에 들어간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상황에 따라 Visual Studio, VS Code, Rider 요 3개 돌아가면서 유연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덕분에 각 프로그램들 이것저것 만지는 재미도 쏠쏠하네요 ㅎㅎ
예시가 조금 다른거라 덧붙입니다! 라이더의 경우 말씀해주신 오피스 Home & Student랑 달리 개인이 구매해서 회사 업무에 사용해도 문제가 없습니다.
예를 들자면 내가 VS를 쓰는 회사에 갔는데 좀 불편해서 따로 리샤퍼나 라이더를 결제하고 사용해도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말씀해주신 것처럼 일반적으로 기업이 구매하는건 라이센스를 구매해서 직원에게 열어주는 형태고 개인용 라이센스는 기업이 '구매’를 못하는거라 개인용 라이센스 비용으로 비교된걸 짚었던거구요 ㅎㅎ
아 네네 맞아요! 말씀드리려던 게 그거라서요.
반례를 든 다는게 문장 구사를 잘 못 한 것 같네요. ㅜㅠ
약관 위반에 대한 부분을 설명하려다 그렇게 된 거고,
나머지는 @나가코 님께서 말씀해주신 바와 같은 의견입니다.
앗 머쓱하네요 ㅎㅎ;;
에이~ 머쓱하실거까지야 ㅎㅎ 의견 첨부는 중요합니다.
제가 일전에 올려 놓은 개인 사용자 라이센스 범위도 있었네요!
JetBrains Rider 개인 사용자 라이선스 범위 - 튜토리얼, 팁, 강좌 - 닷넷데브 (dotnetdev.kr)
따로 만드는 게 아닐까 생각됩니다. 혹은 저장 장소가 다르거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