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의 성능적 우위와 기술의 시장 지배력은 정비례하지 않습니다.
수치적인 성능이 뛰어나다고 시장을 지배할 수 없습니다.
최상의 성능을 내려면 어셈블리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겁니다. 그러나 어셈블리는 개발 생산성이 급격히 떨어지기 때문에 시장을 지배하기 어렵습니다. 제품 개발하는데 10년 걸린다면…
개발 생산성이 뛰어나다고 해서 시장을 지배할 수 없습니다.
Python은 동적 언어인 스크립트 언어로 타입을 지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개인 개발 시 C# 보다 빠르게 개발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Python은 타입이 없어, 대규모 개발팀이 협업하는데 불리합니다.
협업하기 용이하다고 해도 시장을 지배할 수 없습니다.
C#은 개발 생산성도 좋고 타입도 안정적이며 개발 환경 또한 통일하기 좋아 대규모 개발팀이 사용하기 좋습니다. 그러나 국내 개발 인력 시장은 Java 로 교육하고 Java 숙련자가 많으며 전자 정부 프레임워크는 Java 로 개발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기존 시스템은 Java로 작성되어 있어 유지보수하려면 Java 개발자가 필요합니다.
즉, C#이 수치적인 성능이 우수하고 개발 생산성이 뛰어나며 팀이 협업하기 더 뛰어나도, 시장 지배력을 확보하고 있는 Java를 뛰어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이 필요합니다.
C# 으로 개발하는 회사가 늘어나고, C# 경력자가 늘어나고, 경력자가 기술을 공유하여 신입 개발자를 숙련시키고, C# 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유지보수하는 등의 일련의 시장 지배력 확보가 되어야 합니다.
새로운 기술이 시장을 지배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프라가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단순하게 내연차와 전기차가 어떻게 세대를 교체해가고 있는지를 보시면 됩니다. 자동차를 생산하는 공장과 전기 자동차 충전소, 전기 자동차를 정비하는 정비소, 전기 자동차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액세서리, 전기 자동차를 구입하도록 유도하는 보조금, 전기 자동차로 교체하기 위한 마케팅 등등 시장 지배력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정말 많은 선결 과제가 필요합니다.
좋은 서비스는 사용한 기술이 얼마나 우수하냐로 결정되지 않습니다.
얼마나 뛰어난 기술로 만들었든지 간에 사용하기 불편한건 불편한 겁니다. 공인인증 기술(비대칭 암호화 기술)은 정말 우수한 보안 기술입니다. 그러나 국내 공인인증 서비스들은 하나같이 불편한 서비스입니다.
기술적으로 뛰어나니 더 좋은 서비스라고 사용자를 설득하는 건 개발자의 입장을 사용자에게 강요할 뿐입니다. 현재 사용되는 키보드 배열인 QWERTY 배열은 왼손이 더 많은 키를 눌러야 하는 비효율적인 배열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기존 키보드 배열이 익숙한 사용자에게 새로운 배열 키보드를 제공해봤자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할 뿐입니다. 사용자에게 아무리 기술이 더 뛰어나다고 말해봤자, 건강에 좋지 않은 햄버거를 멀리하고 닭가슴살 샐러드만 먹으라는 말 밖에 안됩니다.
좋은 서비스는 정말 모호한 기준입니다. 사용자가 누구냐에 따라 달라지기도 합니다. 질문에 말씀하셨듯이 성능이 얼만큼 좋아야 좋은 서비스가 되는지 애매합니다. 누군가는 사이트 로딩이 1초가 걸려도 만족하는 반면, 다른 누군가는 0.01초도 불만족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기술을 선택하는 기준이 얼마나 많은 사용자와 트래픽을 감당할 수 있는지가 기준이었던 적은 의외로 적습니다. 왜냐하면 기술을 변경하여 다시 개발하는 것보다 서버의 성능을 늘리는게 더 빠르고 쉬우면서 비용 효율적인 해결책입니다.
따라서, 기업의 입장에서 기술적으로 떨어지는 스프링 프레임워크라도, 기존에 개발된 시스템으로 빠르고 그리고 질 좋은 인력을 저렴하게 수급하여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이 유리하기에 해당 기술로 개발할 뿐입니다.
결론
기술은 도구일 뿐입니다. 기술이 뛰어나면 무엇인가를 더 저렴한 비용으로 더 좋은 성능을 가진 무언가를 만들 수 있는 가능성입니다. 그 가능성을 실현하는 건 혼자할 수 있는 일이 아닙니다. 그러나 @닉네임간편 님이 도구로 무엇을 하는지에 따라 도구, 즉 기술의 평가가 달라지게 할 수 있습니다.
장인이 쓰는 도구는 왠지 멋져 보일테고 잘 팔릴테니까요~
그래서 저는 닷넷 코어의 부흥은 저와 @닉네임간편 님 그리고 닷넷 코어를 사용하는 우리들에게 달려 있다고 생각합니다.
예상 외로 많은 분들이 '좋아요’를 눌러주셔서 멋진 답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