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해외에서 직장생활을 마치고, 이제 한국으로 귀국겸 이직자리를 알아보고 있는데,
이력서 작성이 생각보다 막막하네요…
주변에 아는 개발자 분들도 없어서 첨삭받을곳이 변변치 않아 이렇게 커뮤니티에 올리게 됐습니다.
보충 & 수정 해야할 부분 고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혹시 문제가 된다면 삭제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해외에서 직장생활을 마치고, 이제 한국으로 귀국겸 이직자리를 알아보고 있는데,
이력서 작성이 생각보다 막막하네요…
주변에 아는 개발자 분들도 없어서 첨삭받을곳이 변변치 않아 이렇게 커뮤니티에 올리게 됐습니다.
보충 & 수정 해야할 부분 고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혹시 문제가 된다면 삭제하겠습니다!)
훌륭해보이는데요 저정도면 큰무리 없으실것 같은데요
뭐 추가로 했던 업무라든가 자격증 부가적인것 몇가지 더 추가하고
간단한 자기 소개좀 더하시고
링크드인 계정도 하나 만들어서 추가해보시는것이 좋을것 같네요
괜히 이것저것 갖다붙인 이력서보다 훨씬 좋아보입니다.
감사합니다. 점x 개발자 구인 플렛폼에서 몇군데 지원을 해봤는데,
자꾸 떨어지길래, 이력서에 대한 의심이 생겨 질문 드렸습니다.
말씀해주신 부분 고쳐서 다시 도전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아… 뭐… 제가 누군가에게 조언을 할 수준은 아닌데요.
자꾸 떨어진다고 하시니 좀 안타까운 마음에 살포시 몇 자 주절거려보자면요…
(그래도 꽤 많은 이력서를 받아서 검토하고 사람을 뽑아본 바로는…)
원하시는 분야가 정확히 타게팅 되고, 그에 어필할 수 있는 부분을 부각
시켜야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지 않을까 해요.
이력서 자체는 깔끔한데 어떤 분야에 지원한 건지 명확치 않은데다
그 분야에서 매력적으로 느낄 무언가가 있는 지 잘 모르겠다는 느낌임다.
구직/구인 모두의 입장에서, 요 이력서
라는 게
결국 내가 누구인가, 어떤 사람인가, 필요한 사람인가, 적합한 사람인가
를 표현하고 인지하는 도구이거등요.
구직 입장에서는
자신을 충분히 드러내고, 실력을 자랑하고, 내가 느네 회사에 도움이되는 사람이야!
를 강조하는 것이고
구인 입장에서는
이 사람이 진짜 괜찮은 사람인가? 실력은 좋은가? 의사소통과 협업에 문제가 없나? 꼭 필요한 사람인가? 등등을 확인하는 수단이에요.
덜렁 이력만 기재되어 있으면 회사 입장에서는 지원자에 대해 알 수 있는 게 별로 없어요.
게다가 기록된 업무 전체를 온전히 혼자 수행한 일인지도 확실치 않아서, 그 이력이 진짜 이 사람의 경력인가… 하는 의심도 하게 되죠.
가능하다면 이력서 안에서, 혹은 이력서와 같이 확인할 수 있는 페이지 안에서
자기 소개나 별도의 자랑거리(!)를 추가하는 게 좋아요.(갠적으루 자기자랑 이력서 좋아합니다.=ㅅ=/)
그래서 개인적으로 (지극히 개인적으루…)
경력만 기록된 이력서는 잘 통과시키지 않는 편이긴 해요.
자기소개서든 포트폴리오든 자기자랑 엣세이든 자신의 가치를 설득력 있게 어필하는 무언가가 함께 들어오는 이력서 위주로 보고 있어요.
특히, 프로젝트나 업무를 하면서 얼마나 어떻게 성장했고, 이런 점을 고쳐 문제를 해결했고, 다른 사람에게 선한 영향력을 끼치는 가치있는 사람이다! 라는 것을 자랑하는 이력서를 높게 평가하는 편입니다.
(근데 사실 그런 이력서 거의 없긴해요…-ㅅ-;; )
개발자는 실력이 자신감이고, 자신감이 넘치는 개발자가 실력있는 개발자라고 생각하는 편이라
이력서에도 그런 자신감이 충분히 표현되어 있는 것을 선호합니다.
혹시 환경이 허락된다면
본인의 이력서를 가지고 이력서 검토와 면접 연습을 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일 거 같아요. 특히
주변에 함께 구직을 준비하는 지인들이 있다면, 면접관이 되어 이력서 검토와 모의 면접을 해보는 거죠.
그러면서 문제점이나 부족한 점을 찾고, 나쁜 예시라고 생각드는 부분에서 교훈을 얻기도 해요.
면접관 입장에서 역지사지 해보면 대충 답이 나올 거라 생각함다. ㅇㅅㅇ!
생각보다 길게 떠들었네요. 죄송…
너무 감사합니다! 이렇게 좋은 말씀은 더 길어도 좋을것같은…
해주신 고견 잘 갈무리 하여 반영하겠습니다!
이력서는 문제가 없어보이네요!
저두 비슷한 연차인데 혹시 지향하시는 회사의 종류(스타트업 or only 대기업 같은)가 따로 있으실까요? 회사마다 선호하는 인재상이 많이 다르기도하고 요새 취업시장이 좀 얼어붙어서 그런 영향이 있을것 같기도하네요.
살펴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아직은 종류는 따로 나누지 않고, 지원하고있습니다.
(대부분 중소&중견 위주로…)
플러터는 대기업 공채가 잘 없더라구요…
조금 더 천천히 알아봐야겠네요.
Flutter를 메인 언어로 지원하신다면 아마 대기업에서 Flutter를 쓰는 경우는 국내는 좀 드물거 같고, 네이버 지식인 앱 정도가 떠오르고 나머지는 신생 스타트업이 꽤 있을 것 같네요. 투자로 크는 스타트업은 플러터 TO가 거의 없을 것 같기도하네요.(지인이야기로는) 아마 역량 대비 수요가 부족한 시장이지않을까싶네요.